시장에서 길을 묻다/시장통 이야기

시장에 들어 온 사연...

삼천포깨비 2005. 6. 23. 10:11
 

** 세상읽기


             따뜻한 우리 이웃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 얘기를

                전해드리는 세상읽기 시간입니다.


             매주 수요일은 시장통 아줌마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에 대해 얘기나눠봅니다.

                삼천포 시장 아줌마, 유경희씨 전화연결돼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경희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떤 얘기를 들려주시겠습니까?


유경희       오늘은 우리 시장사람들에 대한 얘기를

                하나 하나 꺼내볼까 합니다.


             네...정말 지금 시장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분들 모두

                저마다의 사연이 있을 것 같아요.


유경희        그렇죠. 시장에는 점포를 가지고 장사를 하시는 분도 있고

                노점에서  평생을 장사하신 분도 계시죠.

                장날이면 뜨네기 장꾼들이 가끔씩 오곤 하는데

                그분들 나름대로 사연 하나씩은 있었어요.

                삼천포에 오일장이 따로 여는 곳이 있어요.

                외지 장꾼들과 같이 중앙시장에 있는 상인들도 그쪽으로 가서

                장사를 합니다.

                그런데 리어카를 끌고 다니는 장꾼들은 중앙시장에 들어와서

                팔고 가기도 한답니다.

                파스장사도 있고요. 땅콩장사 수박장사 두꺼비기름장사

                속옷장사 몸빼까지 만들어서 팔러와요.

                숟가락 젓가락을 팔러 오기도 하고 양말장사 츄리닝장사도

                시장에 들어와서 재미보고 갑니다.

                세월도 닦고 마음도 닦으라는 때수건파는 아저씨도 있었는데

                요즘 안보인지 오래 되었어요.

                요즘 물건 가지고 다니는 차에나 물건을 진열해 놓은 자리에

                '창고 대방출' '공장부도''왕창세일'

                머 이딴걸로 지나가는 사람들 유혹을 하는데

                때수건 파는 아저씨도 비슷한 말 하면서 많이 팔았어요. 

             자기가 공장사장인데 직원들 월급을 줘야한다고 반은 울더라고요.

             과부마음 홀애비가 안다고 너도 나도 사주었던 적이  있어요.

                속옷 장사하는 사람도 번듯한 가게에서 장사를 했는데

                집세를 내지 못할 정도로 장사가 안되니까 가게를  뺐어요.

               그리고 리어카에 싣고 장날이면 장에서 팔고  

               평소에는 시장입구에 자리잡고 팔더라고요.

                집세 걱정 덜하고 장사하니까 배짱 편하다고 하네요.


             유경희씨가 계시는 중앙시장에서 가장 오래된

                장사집은 어디인가요?


유경희       중앙시장에서 가장 오래된 장사는 쌀전하고 포목점인데

               한 사십년은 넘었다나봐요.

               첨에 천막을 치고 장사해서 길이나고 건물이 서고 했나봐요.

               생선파는 할머니들은 한이십년 됐다나봐요.

               그전에 더 오래하신분들은 다 돌아가셨구요.

               저의 가게앞에 쭈욱 자리잡고 계시는 철띠기할머니 미자할머니

               선이할머니 아파트할머니...이런 분들이예요.

               생선할머니들은 우연찮게 보리고개때

               그러니까 보리가 썩든 해가 있었데요.

               그때부터 너무 너무 고생이 심하다보니 살림만하다가

              생선팔러나가는 사람들 따러 나갔다가 본업으로 삼게  되었데요.

              국토개발인가 그런게 있었는데 돌을 이고  산골짜기에서 열일곱번을

              왔다 갔다하면  하루가 다 간데요.

              그러고나면 밀가루니 강냉이가루를 타간 시절을 이야기 해주었어요.

               너무 먹을게 없으니까 시집에서도 쫒겨나서

               이것 저것하다가 배운게 장사래요.

               평생 노점을 하던 사람은 가게를 얻어 장사 못한다고  했어요.

              집세 오십만원 백만원 주고 장사하는 사람보고

              그 돈을 왜 주냐고 하드라고요.


             오랫동안 장사를 한 분들 얘기를 들어보면

                예전엔 장사하기가 어땠다고 하십니까?


유경희    예전엔 그러니까 아이엠에프가 터지기 전까지는 장사가 잘 되었대요.

            특히 팔십년도에 시장에 들어와  돈 못 벌었다면 바보소리 들을거래요.

            돈을 허리에 차고 잔 할머니도 있고 푸대자루에 돈을  담아서

            세지도 못하고 담날 장사하고 그랬데요. ^^


             그런 때도 있었다니..참 믿기지가 않네요.


             유경희씨 경우는 어떻게 장사를 시작하게 되셨는지

                궁금한데요. 

        

유경희       저도 참 많은 사연이 있었는데 그걸 다 말씀드리지는

                못하구요. 어쨌든 80년대에 레스토랑을 시작했다가

                당시 삼천포문화와 레스토랑이 어울리지 않았는지

                실패를 하고, 다음으로 당구장, 다방, 소주방, 호프...

                참 많은 일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남편이 택시 운전을 했는데

                택시운전 몇달만에 사고가 났어요.

                안될려고 하니까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는 말이 있자나요.

                한동안 탕수육 체인점이 바람이 불더군요.

                신문보고 가게 얻어서 마침 방이 딸린 가게가 있길래          

                전세를 빼서 탕수육체인점을 차렸어요.

                생각보다 장사가 안됐어요. 마진이 너무 작아서 많이  팔면 괜찮았죠.

                그러던 와중에 시장에 갔더니 아는 사람이 불러서

                지금 우리가게를 한번 해 보라고 권하드라고요.

                며칠만에 뚝닥 뚝닥해서 얻은 가게가 지금 도깨비 김밥집이죠.


             유경희씨처럼 아마 우여곡절 끝에 지금 시장에

                터를 잡고 있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모두들 장사가 좀 잘돼서 활짝 웃을 수 있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네요.

        

             오늘 얘기 잘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세상읽기, 삼천포 시장아줌마

                유경희씨였습니다.